동구 ‘열린관광지’ 반쪽짜리 사업 지적 제기돼

본문 바로가기
관광뉴스
관광뉴스 > 커뮤니티 > 관광뉴스

동구 ‘열린관광지’ 반쪽짜리 사업 지적 제기돼

최고관리자 0 14

동구 ‘열린관광지’ 반쪽짜리 사업 지적 제기돼


핵심시설 대왕암 미로원 무장애 놀이터 조성 철회… 안내판·점자블럭 등 부분적 정비에 그쳐

울산시 동구는 열린관광지 조성 사업의 하나로 대왕암 미로원에 무장애놀이터를 조성할 계획이었지만 무산됐다. 사진은 7일 찾은 대왕암공원 내 미로원 모습.  장태준 기자


울산시 동구는 열린관광지 조성 사업의 하나로 대왕암 미로원에 무장애놀이터를 조성할 계획이었지만 무산됐다. 사진은 7일 찾은 대왕암공원 내 미로원 모습. 장태준 기자

 

울산시 동구가 5억원의 열린관광지 사업 예산을 활용해 ‘무장애 놀이터’ 등 핵심 시설은 철회한 채 안내판 설치, 보행로 개선 등 일부 편의시설 정비에만 그치면서 결국 반쪽짜리 사업에 머물렀다는 지적이다.


같은 예산을 받은 북구와 남구가 장애인 등 이동약자를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시설 개선에 나선 것과 달리 동구는 눈에 띄는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것이다.


7일 찾은 동구 대왕암공원. 공원 입구부터 이어지는 산책로는 일부 구간이 평탄하게 정비돼 있지만 관광객이 몰리는 출렁다리 구간이나 해안 산책로 등 주요 명소는 여전히 휠체어나 유모차, 노약자, 장애인이 접근하기 어려운 구조였다.


한 장애인 가족은 “대왕암공원이 열린관광지로 선정됐다기에 기대하고 왔는데 장생포 고래문화마을에 비해 정작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다닐 수 있는 구간이 너무 제한적”이라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앞서 동구 대왕암공원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하는 2024년 열린관광지 사업에 남구 장생포 고래문화특구, 북구 강동 오토캠핑장와 함께 선정됐다. 이는 장애인·고령자·영유아 동반 가족 등 관광 취약계층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시설을 개·보수하고 체험형 콘텐츠 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세 구 모두 총 사업비 5억원으로 같은 예산을 지원 받았다.


남구의 경우 화장실 좌변기 교체, 촉지도 설치, 휠체어 접근이 어려웠던 곳의 경사로 조성, 계단 핸드레일 설치 등 기본 인프라를 정비했다. 장생포옛마을 내 체험 의상인 교복의 여밈 장치를 일부 벨크로(찍찍이)로 교체해 누구나 쉽게 입을 수 있게 했고, 고래박물관에는 시각장애인과 어린이를 위한 ‘촉각 전시’를 도입했다.


북구 역시 무장애 카라반 2대 설치와 캠핑데크 개선 등 휠체어 이용자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특화 캠핑시설을 도입해 이동약자와 가족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반면 동구 대왕암공원은 장애인 등 관광취약계층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변화가 다소 부족하다.


당초 미로원에 계획했던 무장애 놀이터 조성은 철회됐으며 안내판 제작, 장애인 주차장 정비, 단차 및 보행로 개선, 화장실 에어컨 설치, 점자블록 추가 등 부분적인 정비에 그쳤다.


미로원에는 벤치 교체와 휴게시설(정자) 추가, 식재 보강 등 최소한의 환경 개선만 이뤄졌다.



이에 대해 동구는 “미로원에 무장애 놀이터를 설치하려 했으나, 미로원 존치가 결정되면서 놀이터 조성은 철회됐다”고 밝혔다.


대신 대왕암공원 전체를 대상으로 기본 인프라 정비로 장애인과 노령자 등 이동약자가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됐다는 설명이다.


동구청은 “미로원은 입지상 무장애 놀이터로 만들기엔 길이 협소하고 사업비도 부족했다”며 “미로원보다는 대왕암공원 메인 산책로나 주차장 등 발길이 많은 곳에 예산을 집중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어 “미로원 자리는 추후 해상 케이블카가 들어올 수 있는 자리이기도 해 무턱대고 조성을 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대왕암공원은 최근 2년 연속 방문객이 급감하며 지역 대표 관광지로서의 위상마저 흔들리고 있다. 2022년 100만명을 넘었던 방문객 수는 2024년 39만명대로 떨어졌다.


여기에 대왕암공원 조성사업은 토지 확보 지연으로 15년째 지지부진하고 해상케이블카 사업도 표류 중이다.


한서영 기자


출처 : 울산제일일보

원문기사 : http://www.uj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69926

0 Comments
제목